두원공대88학번뚜뚜 2021. 7. 28. 22:30

EC2 - 가상 서버 제공자. 서버를 제공하는 플랫폼. 

이 EC2의 인스턴스는, 마치 서버와 같다. 즉 EC2 인스턴스 = 서버

Root 장치는 OS가 설치되는 스토리지. 이 Root 장치로 EBS와 인스턴스스토리지의 사용이 가능.

 

EBS - EC2 인스턴스에 장착해 사용가능한 가상 저장장치

생성 - OS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알맞은 File System으로 포맷 필요

 

스냅샷 - EBS 전체 볼륨 중 특정 시점을 파일로 저장한, EBS볼륨의 백업

EBS 스냅샷으로 EBS볼륨 생성 - EBS볼륨 자체로는 다른 가용영역으로 이전 불가. 따라서, EBS스냅샷을 활용.

EBS 스냅샷으로 AMI(Amazon Machine Image) 생성 

EBS 스냅샷을 다른 리전으로 복사 - EBS 볼륨 자체로는 다른 가용영역으로 이전 불가, 또한 다른 리전으로 이전도 불가. 따라서 스냅샷을 활용.

 

인스턴스 스토리지를 Root 장치로 사용하는 EC2 인스턴스의 생성 - Stop 기능이 부재. 재부팅, 삭제만 가능.

 

Elastic IP - 고정된 공인 IP. DNS서버를 통해 도메인에 ip주소를 연결했는데 ip주소가 바뀌면 곤란하다. 따라서 DNS서버에서 도메인과 IP주소를 연결해야 할 때, 또는 IP주소가 바뀌지 않고 계속 유지해야 할 때 쓴다.

 

키 쌍 -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암호화 파일. 이 키 쌍을 생성 또는 활용, 혹은 이미 생성된 EC2 인스턴스에서 공개 키 변경이 가능. EC2 인스턴스는 새로 생성할 때만 키 쌍을 선택할 수 있으며, 새로 생성된 이후엔 EC2 페이지에선 변경이 불가하다. LINUX/PUTTY에서 변경이 가능.

클라이언트가 추가될 때마다, 이 키 쌍을 하나씩 생성해 부여해 접속할 수 있게 하는것이 좋겠다.

 

AMI - EC2 생성 위한 기본 파일. AWS에서는, 빈 EC2 인스턴스에 직접 OS설치 불가. 따라서, 미리 OS가 설치된 AMI를 이용해 EC2 인스턴스를 설치해야 한다.

 

액세스키, 시크릿 키- 개발자가 외부 프로그램으로 AWS의 내부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. EXE 파일을 만들었을 때 써먹어야 겠다. 해당 클라우드 내 리소스에 접근할 필요가 있을 때 이용해야겠다.

 

10장) AWS리소스 모니터링 - EC2인스턴스의 CPU사용률 모니터링. 아직은 그닥?

 

11장) 프로토콜과 연동하는 스토리지 S3 - 저장용량 무한 & 파일저장에 최적화 

AMAZON S3의 버킷에 파일, 데이터 등의 업로드가 가능. 또한, 객체권한을 관리하여 원하는 사람에게 URL을 통해 파일 보거나 하게 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