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애니리뷰

네트워크 1 ) 기초

인터페이스 - 컴퓨터의 파이프 접속구. 즉, 컴퓨터와 파이프의 중개역

 

라우터 - 일종의 패킷교환기. 다양한 end노드(즉, 컴퓨터)에서 출발한 각 패킷들은 라우터를 가게 되면, 한 수신처의 데이터가 회선을 점유하지 않고 전부 랜덤으로 섞여서 송신됨. 이후에 다른 패킷교환기에 도착하면 각자 목표로 하는 수신처를 향해 나아감. 이 라우터도 라우터-컴퓨터, 라우터-라우터 간 인터페이스를 지님.

 

파이프를 T자 등으로 나누면, 서로 파일을 공유하는 컴퓨터끼리 하나의 라우터 내에 묶을 수 있게됨.

이렇게, 라우터에 의한 패킷 교환이 아니라, 회선을 나눠 연결하는 것을. '세그먼트'라 하며, 이 세그먼트 내 컴퓨터는 라우터가 없어도 송.수신이 가능. 이 T자 분배기가 곧 '허브'

 

허브의 말단 간의 연결 통한(혹은 허브 하나와 여러 라우터의 연결의) 멀티액세스, 라우터 간의 포인트 투 포인트를 조합해 네트워크 형성

 

LAN(Local Area Network) - 랜. 구내에 설치된 네트워크. 즉, 지역적으로 좁은 범위 내에서 구축되며, 하나의 연구실에 허브-라우터-말단의 LAN이 존재, 그리고 이 연구실의 LAN들이 모여 연구동의 LAN, 연구동의 LAN들이 모여 학교으 LAN.

WAN(Wid Area Network) - 떨어져 있는 지역(LAN)끼리, 통신사업자의 통신케이블을 빌려 연결한 네트워크. 다른 대학끼리 인터넷을 연결하는 건 힘드니, 그 사이를 통신사업자의 케이블을 이용해 통신함.


OSI 계층

7 어플리케이션 네트워크서비스를 제공 데이터를 통신용으로 변환한 것과, 7계층 헤더
6 표현 데이터 형식 결정 상동
5 세션 데이터 송수신의 순서 등 관리 상동
4 전송 신뢰성 높은 전송 시행 메시지와 4계층 헤더. 세그먼트, 데이터그램이라 불림
3 네트워크 전송규칙과 수신처 결정 세그먼트, 데이터그램과 3계층 헤더. 데이터그램 or 패킷
2 데이터링크 인접기기 사이의 데이터전송을 제어 데이터그램과 2계층 헤더. 프레임.
1 물리 전기, 기계적 부분 전송 시행 프레임을 저농매체로 운반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

각 계층은 독립적으로, 단계마다 복수의 프로토콜로 실현됨.

 

캡슐화 - 데이터에,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덧붙인다. 각 계층을 통과할 때마다 추가됨.

추가되는 헤더는 위의 계층의 오른쪽에 표기. 이렇게 추가된 것이 각각 PDU(프로토콜 데이터 유닛)임.

 

이 프로토콜은, 헤더와 데이터의 내용,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순서를 결정. 가장 많이 OSI에서 쓰이는 게 TCP/IP 프로토콜.

예) 3계층 헤더의 경우, [수신처의 주소 - 자신의 주소 - 데이터 내용 표시하는 코드 - 데이터의 우선도 - 데이터]인데,

각각 주소나 코드에 몇 비트를 쓸지, 이 배열의 순서, 코드 및 우선도 비트가 나타내는 의미를 프로토콜이 결정.

 

이 TCP/IP 모델에선, 7~5계층이 4계층(어플리케이션), 4계층이 3계층(트랜스포트계층), 3계층이 2계층(인터넷계층), 2~1계층이 1계층(인터페이스계층)으로 변경됨. 각각의 프로토콜은

4계층 어플리케이션 HTTP, FTP, SMTP
3계층 트랜스포트 TCP(전송제어 프로토콜), UDP(유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)
2계층 인터넷 IP(인터넷 프로토콜), ARP(주소 Resolution 프로토콜)
1계층 인터페이스 이더넷

 

표준화단체

ISO - 국제 표준화기구. OSI참조모델 만듬

ITU - 국제전기통신연합.

IEEE - 전기전자학회. LAN의 규격 만듬

IETF - 인터넷특별기술위원회. RFC란 이름의 문서를 작성해, TCP, UDP, IP 등을 만듬.

'애니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opencv의 c++에서의 픽셀 접근  (0) 2022.03.27
네트워크 2 ) 신호의 전송과 충돌  (0) 2022.03.14
조합 dfs 형식으로 풀기  (4) 2021.10.01
맵 공부  (0) 2021.02.01
실습 7-1)메뉴를 이용해 배경색을 바꾸기  (2) 2020.08.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