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미연시리뷰

[통계 정리] 통계와 확률 정리 & PRML 목차

순열조합은 이쪽


상관분석은 이쪽


분산은 이쪽

분산 - X가 그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? 이를 계산, 제곱해서[1] 평균낸 것[2]. 즉,

sigma(x-m)^2[각주:1]* f(x)[각주:2] 임. 

즉, 다시 표기하면 E[X-E[X][각주:3]]^2[각주:4]이고, 이를 계산 시 E[X^2]-(E[X])^2가 되는 것


공분산은 이쪽

위의 공분산에 의거한 공분산 행렬은 아래와 같음.

공분산과 공분산 행렬(covariance) · kh-mo's blog

 

공분산과 공분산 행렬(covariance) · kh-mo's blog

공분산과 공분산 행렬(covariance) 02 Jan 2021 | 공분산이란? 공분산이란 2개 변수가 함께 변하는 정도(joint variability)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. 두 변수가 있을 때, 한 변수값이 커지면서 다른 변수도 값

kh-mo.github.io


선형회귀


이산확률분포


연속확률분포


기타 분포

즉,(X-m)/σ는 (-σ ~ m  ~ σ) 로 분포되어 있던 그래프를 (-1 ~ 0 ~ 1)의 그래프로 옮긴다는 뜻.


우수추정량 & 신뢰구간

 

  1. [1]과정 [본문으로]
  2. sigma와 함께 [2]과정 [본문으로]
  3. [1] 과정 [본문으로]
  4. [2]과정 [본문으로]

'미연시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Diffusion] 참고용링크  (0) 2023.04.24
Optical Flow  (2) 2023.02.24
캐글  (0) 2021.08.23
뭔가 일어남..  (0) 2021.08.10
소스트리 에러났을때  (0) 2021.07.29